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YTGy/btrRv8d687y/4jCLrK1NKOJrwGPPYyjUM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kbOE/btrRrQNp77O/AxVtdRuU6n8cimHo8xxmjK/img.png)
이번 업데이트로 세르플로 행성에 추가된 마지막 네임드 섹터, 해군 요새가 남아있지만 새로운 행성인 에르키아가 너무너무 궁금해요..
에르키아 행성 저 먼곳 뒤편에는 아름다운 세르플로 행성이 작게 보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cSKp/btrRv8yqehl/NAbPpoFkcnesRk0KJDMjh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kiMx/btrRtTWo5eJ/kvOLTGhyURjBPGPoNQ5sa0/img.png)
에르키아 행성에는 별도의 연구 콘텐츠가 있네요. 세르플로 행성과 동일한 자원도 있고 아직까지는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자원도 있나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uD54/btrRuWdZ8uc/S3DO5tSatHZUXUBFeY8YXk/img.png)
호기심을 이기지 못하고 맛보기만 해보기로 합니다. 위험도 낮음의 에르키아 행성의 네임드 섹터인 시작을 시작합니다!
튜토리얼 지역. 아직 목표가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. 정보를 더 기다리십시오.
아주 간단한 맵 설명입니다. 튜토리얼이 있는걸로 봐선, 세르플로 행성과는 뭔가 다른 새로운 시스템이 적용되나 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HRHgg/btrRsHWTGoI/g5iwFRxAIZ0pKON4eaLsc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x6PRR/btrRtcoDyOy/0tKwP6jGKKEoVYLTrAcrSk/img.png)
코어가 착륙하는 섹터 오프닝은 세르플로와 동일합니다. 굉장히 삭막해 보이는 땅에 코어가 자리를 잡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YQMU/btrRJO7A3vo/UwtlfhGK2UfNMEwTrhfak1/img.jpg)
시작과 동시에 해금된 이보크입니다. 세르플로 행성의 알파-베타-감마와는 다르게 공격 능력이 없는 대신, 빔으로 구조물을 수리한다고 하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bkBs/btrRrPnnX5u/PIvwd4B7c1myf7mQDHnew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4iKk9/btrRtIAFUKj/KTuom5IVi48Y1KdTcYRdRK/img.png)
이 베릴륨은 세르플로 행성의 기본 자원인 구리급 정도 되나봐요. 플레이어 유닛으로 베릴륨을 채굴하며 퀘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b9YB/btrRtH9FgtP/MKkXEhI5U4w1ARam2mTbC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RuzK/btrRva4i8z0/M8auZYQhkHg9acIKgGTkH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c7Bq/btrRt8FUN79/KjybTxXh571wJKrs0Zffc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x64qT/btrRvaQOfhv/Ctcc0LnY5lKMX2nNLWwu6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36XsG/btrRvb3en6g/5dMlSTUjqWJXEM70Veskkk/img.jpg)
채굴한 베릴륨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합니다. 도관은 세르플로 행성의 컨베이어, 도관 분배기는 세르플로 행성의 분배기로 볼 수 있는데, 자원을 지정해서 필터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
플라즈마 채광기와 터빈 응결기, 빔 노드는 기존의 구조물과 비슷하면서도 색다르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1hjN9/btrRtIHu4tM/baKDhhk4VThx4rssFBW9q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Pzkh/btrRtibduOp/rVRbMXt3ID9pHoDjKFfWK1/img.png)
터빈 응결기는 분화구같이 생긴 구덩이 위에만 건설이 가능하고, 전력과 물을 동시에 생산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cT8z/btrRvJepEvf/5pO8DkYUlKHgDqYF8spPnK/img.png)
세르플로 행성의 전력 노드는 범위 내의 시설들 모두에 전력 공급이 가능했는데, 에르키아 행성의 빔 노드는 전력을 직선 방향으로만 연결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FQz7/btrRtUucGc1/7OAeIihs1Ai05JGTx1VQj1/img.png)
플라즈마 채광기는 벽에 있는 광물을 채굴하며 물이 아닌 수소를 사용해 선택적 향상이 가능합니다. 가장 기본적인 채굴 시설임에도 세르플로 행성의 기계식 드릴과는 다르게, 가동에 전력이 필요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qEK0r/btrRsH3C2DA/Ee9XJl0cN0sU1ig93rdEIk/img.png)
도관은 기존 컨베이어보다 비교적 빠른속도 입니다. 초당 15개의 자원을 운반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9OXA/btrRtgLe16x/fKyCyJ6xC5MNxrwCnmh1KK/img.png)
시설을 조금 더 늘렸습니다. ‘베릴륨 200개 채굴’ 튜토리얼이 한창 진행중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Qi29/btrRuoIBbip/4BxiPwDKmEoJPPUBk2w5uK/img.png)
세르플로 행성의 흑연은 석탄을 이용해 만들었는데, 에르키아 행성에서는 별도의 자원으로 존재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mZil/btrRtUgGoeP/hKOWGz2bOdrkQyA6kPKa7K/img.png)
벽에 붙은 흑연을 플라즈마 채광기로 채굴하고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gNZB/btrRs9eCcHP/KlvLNvEWemrTLMXx3M4jx1/img.jpg)
도관 다리는 다리 컨베이어와 동일한 기능을 하지만 출력 방향을 한 곳으로 밖에(화살표 방향으로) 지정할 수 없는 차이가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Udko/btrRsJAsXdK/qWhxkvvxluexiHuKFHZyK1/img.jpg)
세르플로 행성에는 흔히 볼 수 있었던 모래, 에르키아 행성에선 벽 분쇄기를 건설해야 모래를 얻을 수 있습니다. 벽의 종류에 따라 모래 생산의 효율이 달라지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7k9Uo/btrRuvnmpMQ/zeHuRk3umdhHap3YObgSWK/img.png)
튜토리얼이 계속 진행됩니다. 유닛 공장을 건설 할 차례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WtRx/btrRtG3UG78/KYf35eekOlXWTTrgWYYIt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w8sP/btrRuvOqctx/BJveaBB9jmpXdm42IhKnn0/img.png)
세르플로 행성에서 실리콘을 만드는 재료는 석탄과 모래였는데요, 실리콘 아크 화로는 흑연과 모래를 사용해 실리콘을 조합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p0N9E/btrRt69bArS/hSIzDXKuuezpcmhCSdgpLk/img.png)
모래를 만드는 벽 분쇄기와 흑연을 채굴하는 플라즈마 채광기로 실리콘이 생산되고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faTzw/btrRv9qzokK/o7YTwwDS6qdjCx9TtmKga1/img.jpg)
세르플로 행성에서는 지상 공장, 항공 공장, 해양 공장이었던 유닛 공장들의 명칭이 변경 되었습니다.
에르키아 행성 유닛 공장의 이름은 전차 조립기!
전차를 만들기 위해 전력과 소량의 자원이 당연하게도 필요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hFK5/btrRv7GgLwP/qjxYUD2EUKkw4vMLDu2SWK/img.jpg)
1티어 전차 유닛 스텔.
세르플로 행성의 1티어 지상 유닛인 대거는 체력 150, 공격력 9, 사거리 18인데 이에 비해 스텔의 스펙이 상당히 뛰어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7aJu/btrRt7fVhJG/Xyuus2k7kZheo0YpN2aOlk/img.png)
실리콘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실리콘 아크 화로를 증설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6PY9/btrRrPAXDnM/HWCaJ1sShWAqtVrgzjr6c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1QA6V/btrRupAI5BJ/oADAMwCQDof4Y1QYqvEFCK/img.png)
세르플로 행성의 지형은 맵 전체가 보였었는데, 에르키아 행성에는 전장의 안개가 덮혀 있습니다. 이 안개는 플레이어 기체인 이보크로는 걷어낼 수 없으며, 유닛으로 정찰해야 안개가 걷힙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iaGA/btrRtyZfu35/evYaKFwkVO6R5HwUoDSdU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gOZm/btrRt80e5CE/U469tKsr8oBmrEMLOTE5aK/img.png)
이번 업데이트로 변경된 유닛 컨트롤 방식이 세르플로 행성에서와 에르키아 행성 모두에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IusUa/btrRtgRYq5U/lBfEg2nKDHMzQ3VmeF2C8k/img.jpg)
에르키아 행성의 첫 터렛, 브리치! 세르플로 행성의 첫 터렛이었던 듀오와 비교했을 때, 역시 상당한 스펙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DKdO/btrRuwftXk8/Hub8yO1ZRKdUqQPd080TY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1XHh/btrRvaQOffN/FuidHguo5vD0LnklUeZO21/img.jpg)
구리 벽 급인 베릴륨 벽. 체력이 상당합니다.
유닛, 터렛, 방어 벽 등 대부분의 에르키아 행성의 구조물들이 세르플로 행성의 구조물 보다 높은 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Czmwp/btrRuVe6c6P/qPqNWtKmktQWZwMyfkkDmK/img.png)
세르플로 행성에서 처럼 건설 불가 지역또한 존재합니다. 적 코어가 가까이 있나보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j8J0/btrRv7sJ1d1/Y60KpaOnOIi1xD4o0zlQb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aMOe/btrRsDAfmAW/XYP2rQb7oRUTS9wUni9E80/img.png)
브리치를 배치하고 베릴륨 벽을 건설해 튜토리얼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xyXO/btrRsHWTG4U/oHEudK22aArKJAfZKX5mD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4UyLt/btrRs7Vkr79/EzFIvXIMHEzzVyX9l6Fvq1/img.png)
다가오는 적을 브리치가 멋지게 공격하고 있습니다. 수리 능력을 갖춘 이보크는 자동으로 피해입은 구조물들을 수리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qevq/btrRrQNp9ys/RH1S0Mmfta1gvzHJFXYaP0/img.png)
튜토리얼이 시키는대로 합니다.. 적이 취약한 상태라고 하니 총-공격!!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oW9xE/btrRs8UegZc/POnzCBqNiNRstvKQfrTKi0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p4rEo/btrRuvt7U0e/TZKKK4XIxkvI7Jo2Xn4EK0/img.png)
적 코어를 파괴하여 새로운 코어를 코어 타일위에 배치할 수 있게 됐습니다. 에르키아 행성에서는 한 지역 내에 여러개 코어의 건설이 가능한가 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ZhSJB/btrRty51qRZ/4igTyyuVgJTiPZVe0faVgk/img.gif)
새로운 코어를 건설할 자원을 모으는 동안 전차들을 이리저리 움직여 봅니다. 유닛의 시야만큼 안개가 걷힙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eqFU/btrRtzw3QAc/EZAB5JelfopPkoTkAPtzq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wLu4/btrRuWyhY9M/JgkGQSjJt1YOBbWQtCpvAk/img.png)
새로운 코어를 건설하니, 잠시 멈춰있던 튜토리얼이 다시 진행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X8LU/btrRstYQr4m/4La6E4OCXDSjxrZ953N7O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aLy5/btrRsU9xlRN/E0htlfO7ZgwETkFDTn5330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4UOP/btrRuwftYX5/Ykvx8eX8OVzzHN0hqlKcC1/img.png)
유닛을 모아 두번째 적 코어를 파괴하여 지역 점령에 성공합니다. 적의 방어가 허술해 유닛을 모아 공격할 필요까지는 없는 듯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oNSg6/btrRtefEJJ3/L9AlFkWtX11X7EsHklwFN1/img.png)
벽에 붙어있는 자원은 플라즈마 채광기를 가로-세로로 배치해 동일한 자원을 중복으로도 채굴이 가능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FUNrz/btrRtydRs2q/8eT82dKSatZNZogobUmIQK/img.png)
서서히 해금되고 있는 에르키아의 연구들. 세르플로의 연구만큼 따라잡으려면 제법 시간이 걸릴 듯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8eGh/btrRrO9QyLq/TsXcmgKYKkgNBKjK2lfLA1/img.jpg)
에르키아 첫 번째 네임드 섹터, 시작을 점령한 미니맵.
지역을 점령해도 안개가 걷히지 않는 부분이 있네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MQ8N/btrRtTWo5bF/CX5SHRZkmWenlrqxkelmd1/img.jpg)
첫 섹터의 튜토리얼과 어리버리한 진행으로 무려 52분이나 소요됐습니다..!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B6Jj/btrRsJmXPO5/LKjxn1THQ0llKEG0yeotBk/img.png)
무사히 점령한 에르키아 행성의 네임드 섹터, 시작!
세르플로 행성과는 디자인에서부터 시스템까지 확실히 다른 느낌입니다. 에르키아 행성에서의 앞으로의 진행, 상당한 기대가 됩니다^ㅡ^
'게임학교 > [Mindustry : 민더스트리] 캠페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77 에르키아 보호 공략 적 기지 점령 -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(0) | 2022.11.25 |
---|---|
#76 해군 요새 공략 적 기지 점령 -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(0) | 2022.11.23 |
#74 섹터 47 공략 적 기지 점령 -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(0) | 2022.11.20 |
#73 해안선 공략 점령 -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에르키아 행성 업데이트 신규 캠페인 (0) | 2022.11.19 |
#72 섹터 30 공략 적 기지 점령 - Mindustry 민더스트리 마인더스트리 공략 (1) | 2022.11.18 |